안녕하세요 버섯돌이 유재성입니다.
최근에 라즈베리 파이의 GPIO포트를 이용한 간단한 LED 점멸을 테스트 해 봤습니다.
참고한 자료는 오로카 카페의 GPIO 강좌입니다.
http://cafe.naver.com/openrt/226
위 카페 글에 그림및 환경 설정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나와있으니 카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사용한 GPIO 포트는 23번, 24번입니다.
이는 라즈베리 파이의 물리적인 핀 번호로 보면 16번과 18번핀입니다.
제 경우 스타터킷을 구매했는데 IDE 케이블이 들어있어서 좀 고생을 했네요.^^(쇼트날까봐..^^)
카페의 강좌 글을 보시고 잘 이해가 안되시면 제 사진을 보시면 조금은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169F40546F137730)
이런식으로 브레드 보드의 각 핀에 연결하고 라즈베리와는 IDE(GPIO) 케이블로 연결 했습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217737546F13791A)
브레드보드가 구멍 위치가 다른지 글자를 보기 힘들었네요.
보기 편하게 다른 각도에서 촬영했습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1ABC41546F137B05)
역시나 보기 편하게 다른 각도에서 촬영했습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068033546F137C33)
역시 보기 편하게 다른 각도에서 촬영했습니다.
브레드 보드에 연결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게 파악 가능하리라 봅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4B843D546F137E1F)
IDE(GPIO) 케이블에는 위 처럼 연결 했습니다.
케이블쪽은 잘 안 보이실것 같아서 케이블 부분만 확대해서 촬영했습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301436546F137F05)
최종적으로 위 처럼 연결되며 LED가 서로 점멸하는 형태로 바꿔서 작성했습니다.
소스는 엄청 심플~
GPIO 라이브러리 선언하고..
import RPi.GPIO as GPIO
라즈베리 파이가 BCM 칩셋을 사용하니 BCM으로 설정..
GPIO.setmode(GPIO.BCM)
그리고 LED 깜빡여야하니 23번과 24번 핀을 출력용으로 설정..
GPIO.setup(23, GPIO.OUT)
GPIO.setup(24, GPIO.OUT)
불 끄고 켜는건 해당 핀에 True, False로 전원을 넣었따 껐다만 하면 OK~
GPIO.output(23, True)
GPIO.output(24, False)
10회 깜빡여주려고 for문과 range() 이용...
파이썬에서의 블럭 범위 설정은 단순히 들여쓰기로 결정...
[이하 전체 소스..]
import RPi.GPIO as GPIO
import time
i=0
GPIO.setmode(GPIO.BCM)
print "Setup LED pins as outputs"
GPIO.setup(23, GPIO.OUT)
GPIO.setup(24, GPIO.OUT)
GPIO.output(23, False)
GPIO.output(24, False)
for i in range(1,10) :
GPIO.output(23, True)
GPIO.output(24, False)
time.sleep(1)
GPIO.output(23, False)
GPIO.output(24, True)
time.sleep(1)
raw_input('press enter to exit program')
GPIO.output(23, False)
GPIO.output(24, False)
GPIO.cleanup()
핀 연결이나 동작은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